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Ramda.js
- graphql
- code-first
- 개발
- ELECTRON
- 리액트
- Funtional programming
- Node.js
- VUE
- VanillaJS
- schema-first
- Programming
- React
- JavaScript
- 함수형
- 자바스크립트
- 프론트엔드
- react.js
- 코딩
- It
- 디자인패턴
- angular
- Front-End
- vue.js
- apollo client
- Design Pattern
- 프로그래밍
- goorm.io
- ECMAScript6
- context api
Archives
공부하는 블로그
Springboot로 REST API 시작하기 (1) - 개발 환경 설정 본문
개발 환경 설정
Macbook Mojave에서 작업하였다.
오라클에서 자바 버젼 유료화 선언을 해서 openjdk를 쓰는게 여러모로 덜 찝찝할것 같아서 openjdk를 사용하도록 하였다.
openJDK 설치
openJDK는 zulu를 이용해서 설치할 수 있다. 터미널 창을 열어서 brew를 업데이트 해준다.
Java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면 삭제를 진행한다.
brew로 zulu를 찾는다.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올 것이다.
인스톨 해준다.
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버젼을 확인할 수 있다.
프로젝트 생성
https://start.spring.io/ 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. Gradle Project, Kotlin, 2.1.1 을 차례로 선택한다.
Group은 기본 값인
com.example
, Artifact는myapp
으로 진행한다. Dependencies에는 ORM인 JPA와 Rest Repositories를 선택한다.Generate Project를 누르면 부트스트래핑 된 앱을
다운받을 수 있다. 원하는 디렉토리에 압축을 풀어준 후, IntelliJ를 켜준다.
Import Project를 클릭하여 압축을 푼 프로젝트 경로를 선택한다. Import Project 창이 열리는데, Import project from external model에서 Gradle을 선택하고 Next를 누른다
또 Next를 누른다.
IDE 창이 뜨고, 관련된 의존성을 다운로드 받을 것이다. 밑의 상태 표시줄을 보면 Gradle이 열심히 돌고 있을 것이다.
이렇게 프로젝트 초기화가 완료되었다.
다음 편
'스프링부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otlin + Springboot로 REST API 시작하기(3) - Todo API 만들기 (2) | 2018.12.13 |
---|---|
Springboot로 REST API 시작하기 (2) - 프로젝트 실행 및 REST API 만들기 (0) | 2018.12.13 |
Kotlin + Springboot로 REST API 시작하기 (0) | 2018.12.06 |
Comments